제7사단 (육상자위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7사단은 일본 육상자위대의 기갑사단으로, 1955년 12월 1일 제7혼성단으로 창설되어 1962년 제7사단으로 개편되었다. 홋카이도 이부리 및 히다카 지역의 방위 및 경비를 담당하며, 3개의 전차 연대, 1개의 기계화 보병 연대 등을 예속하고 있다. 74식, 90식 전차 등을 운용하며, 재해 파견 및 국제 평화 유지 활동에도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갑사단 - 제105기갑사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한국 전쟁 당시 남침 작전의 주요 전투에 참여했던 북한군 제105기갑사단은 1947년 창설 및 1952년 해체 후 "근위 서울 류경수 제105땅크사단"으로 재창설되어 최신예 전차를 운용하며 북한 기갑 전력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지토세시 - 다루마에산
다루마에산은 홋카이도 시코츠호 남쪽에 위치한 활화산으로, 1909년 분화로 형성된 용암 돔이 랜드마크이며, 가까운 미래에 분화 가능성이 높아 방재 계획이 수립되고 있다. - 지토세시 - 북부방면혼성단
북부방면혼성단은 일본 육상자위대의 부대로, 평시 교육 훈련 강화와 유사시 즉응 태세 강화를 위해 창설되어 제52보통과연대, 제1육조교육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제7사단 (육상자위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 부대 개요 | |
| 명칭 | 제7사단 |
| 원어 명칭 | 第7師団 (다이 나나 시단) |
| 영어 명칭 | 7th Division |
![]() | |
| 창설일 | 1962년 8월 15일 |
| 소속 | 육상자위대 |
| 규모 | 사단 |
| 병과 | 기갑 |
| 종류 | 기갑 사단 |
| 역할 | 홋카이도 방어 |
| 인원 | 약 6,500명 |
| 담당 지역 | 도오 |
| 상급 부대 | 북부방면대 |
| 주둔지 | 홋카이도 지토세시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
| 지휘관 | |
| 현재 지휘관 | 육장보 오타 마키야 |
| 기타 | |
| 통칭호 | (정보 없음) |
| 애칭 | (정보 없음) |
| 표어 | (정보 없음) |
| 보충 담당 | (정보 없음) |
| 최종 상급 부대 | (정보 없음) |
| 최종 위치 | (정보 없음) |
| 주요 전력 | (정보 없음) |
2. 역사
1955년 12월 1일, 마코마나이 주둔지에서 제7혼성단으로 창설되었으며, 5년 후인 1960년 1월 편성을 마쳤다. 1961년 2월에는 기계화 보병 부대로 개편되었다.[8][5]
1962년 1월 히가시치토세 주둔지로 이동, 같은 해 7월에 육상자위대의 13개 사단 창설 계획에 따라 제11, 23, 24보통과연대를 예속하여 제7사단으로 개편되었다. 제7항공대(오카다 주둔지)는 제7비행대로 개편되어 북부 방면 항공대 예하로 배속 변경되었다.[10]
1976년 2월, 74식 전차가 배치되기 시작했다. 1981년 3월, 기갑사단으로 개편되면서 제11보통과연대가 개편되고 제7전차대대가 제71전차연대로 증편, 제1전차단을 재편성한 제72전차연대, 제73전차연대를 배속받았다. 제23보통과연대는 해체되고, 제24보통과연대는 제9사단으로 이동하였다. 제7특과연대 제5대대는 제7고사특과연대로 분리 독립, 사단 직할이 되었다. 제7무기대, 제7보급대, 제7장갑수송대, 제7위생대는 폐지·통합되어 제7후방지원연대가 히가시치토세 주둔지에 신편되었다.[5]
1992년 6월, 90식 전차가 제71전차연대에, 89식 장갑전투차가 제11보통과 연대에 배치되기 시작했다.
1994년 3월 28일, 사단 개편으로 제71전차연대의 장비가 74식 전차에서 90식 전차로 교체되고, 전차 중대 편성이 4개 전차 소대에서 3개 전차 소대로 삭감되었다. 제7고사특과연대의 4개 고사 중대가 35mm 2연장 고사 기관포 L-90 8문을 87식 자주 고사 기관포 32량 (각 중대 8량)으로 교체했다. 제7사단 사령부 부대 화학 방호 소대가 화학 방호대로 개편되었고,[11] 북부 방면 항공대의 제7비행대를 예하로 편입했다. 같은 해 8월, 제72전차연대에 90식 전차가 배치되기 시작했다.
2000년 3월, 제73전차연대가 예비군부대(코어부대)화되고, 제7후방지원연대가 개편되었다. 제7화학방호대가 창설되었다.
2014년 3월 26일, 종합 근대화 개편(기갑사단)으로 즉응 예비 자위관 훈련을 북부 방면 혼성단으로 이관하고 제73전차연대를 풀화했다.[12] 제73전차연대 인원은 폐지되는 제1전차군에서도 충당했다.
2023년 3월 15일, 제71전차연대 제5전차 중대[13]와 제72전차연대 제5전차 중대가 폐지되었다.[14] 2024년 3월 20일에는 제73전차연대 제5전차 중대가 폐지되었다.[15]
2. 1. 제7혼성단
1955년 12월 1일, 마코마나이 주둔지에서 제7혼성단으로 창설되었으며,[9] 5년이나 걸려 1960년 1월 편성을 마쳤다. 1956년 1월 25일, 제18보통과 연대를 예하에 편입하고, 제7특과 연대(히가시치토세 주둔지), 제7시설 대대(미나미에니와 주둔지), 제7정찰 중대(나요로 주둔지), 제7무기 중대(아사히카와 주둔지), 제7통신 중대(삿포로 주둔지), 제7보급 중대(아사히카와 주둔지), 제7위생 중대(오비히로 주둔지)가 편성을 완료하였다.[9] 같은 해 2월 10일, 제7특과 연대, 제7시설 대대, 제7무기 중대, 제7보급 중대, 제7정찰 중대, 제7위생 중대, 제7통신 중대가 마코마나이 주둔지로 이주하였다. 6월 3일에는 제7혼성단 및 마코마나이 주둔지 개청식이 거행되었다.[9] 10월 8일부터 11일까지 시마마츠 연병장에서 육상자위대 최초의 대공정 훈련을 실시하였다.1961년 2월 22일, 제5관구대 제11보통과 연대를 예하에 편입하고, 제18보통과 연대가 제5관구대 예하로 소속 변경되었다. 같은 해 2월 28일, 제7혼성단을 기계화 부대로 개편하여, 제23보통과 연대, 제24보통과 연대, 제7특차 대대, 제7통신 대대가 히가시치토세 주둔지에서, 제7항공대가 오카다마 주둔지, 제7장갑 수송대가 히가시치토세 주둔지에서 각각 편성을 완료하였다.[8]
1962년 1월 18일, 제7혼성단이 마코마나이 주둔지에서 히가시치토세 주둔지로 이주하였다. 같은 날, 제7특차 대대가 제7전차 대대로 명칭 변경하고, 기타치토세 주둔지에서 히가시치토세 주둔지로 이주하였다.
2. 2. 제7사단
1955년 12월 1일, 마코마나이 주둔지에서 제7혼성단으로 창설되었으며, 5년 후인 1960년 1월 편성을 마쳤다. 1961년 2월에는 기계화 보병 부대로 개편되었다.[8][5]1962년 1월 히가시치토세 주둔지로 이동, 같은 해 7월에 육상자위대의 13개 사단 창설 계획에 따라 제11, 23, 24보통과연대를 예속하여 제7사단으로 개편되었다. 제7항공대(오카다 주둔지)는 제7비행대로 개편되어 북부 방면 항공대 예하로 배속 변경되었다.[10]
1976년 2월, 74식 전차가 배치되기 시작했다. 1981년 3월, 기갑사단으로 개편되면서 제11보통과연대가 개편되고 제7전차대대가 제71전차연대로 증편, 제1전차단을 재편성한 제72전차연대, 제73전차연대를 배속받았다. 제23보통과연대는 해체되고, 제24보통과연대는 제9사단으로 이동하였다. 제7특과연대 제5대대는 제7고사특과연대로 분리 독립, 사단 직할이 되었다. 제7무기대, 제7보급대, 제7장갑수송대, 제7위생대는 폐지·통합되어 제7후방지원연대가 히가시치토세 주둔지에 신편되었다.[5]
1992년 6월, 90식 전차가 제71전차연대에, 89식 장갑전투차가 제11보통과 연대에 배치되기 시작했다.
1994년 3월 28일, 사단 개편으로 제71전차연대의 장비가 74식 전차에서 90식 전차로 교체되고, 전차 중대 편성이 4개 전차 소대에서 3개 전차 소대로 삭감되었다. 제7고사특과연대의 4개 고사 중대가 35mm 2연장 고사 기관포 L-90 8문을 87식 자주 고사 기관포 32량 (각 중대 8량)으로 교체했다. 제7사단 사령부 부대 화학 방호 소대가 화학 방호대로 개편되었고,[11] 북부 방면 항공대의 제7비행대를 예하로 편입했다. 같은 해 8월, 제72전차연대에 90식 전차가 배치되기 시작했다.
2000년 3월, 제73전차연대가 예비군부대(코어부대)화되고, 제7후방지원연대가 개편되었다. 제7화학방호대가 창설되었다.
2014년 3월 26일, 종합 근대화 개편(기갑사단)으로 즉응 예비 자위관 훈련을 북부 방면 혼성단으로 이관하고 제73전차연대를 풀화했다.[12] 제73전차연대 인원은 폐지되는 제1전차군에서도 충당했다.
2023년 3월 15일, 제71전차연대 제5전차 중대[13]와 제72전차연대 제5전차 중대가 폐지되었다.[14] 2024년 3월 20일에는 제73전차연대 제5전차 중대가 폐지되었다.[15]
3. 편제

제7사단은 사단 사령부와 3개 전차 연대, 1개 기계화 보병 연대, 1개 기계화 포병 연대, 1개 방공 연대, 1개 병참 지원 연대 및 기타 지원 부대로 구성된다. 야전에서 사단은 이러한 요소들을 통합된 병종 "전투단"으로 편성한다.[1] 예를 들어, 전차 연대에 보병 중대, 포병 포대, 방공 포대 및 지원 부대를 배속하여 전차 전투단을 형성한다.[2]
- 제7사단사령부
- 제11보통과연대(6개 중대) -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 제71전차연대(5개 중대) - 기타치토세 주둔지
- 제72전차연대(5개 중대) - 기타에니와 주둔지
- 제73전차연대(5개 중대) - 미나미에니와 주둔지
- 제7고사특과연대(6개 중대) - 시즈나이 주둔지
- 제7특과연대(4개 대대별 2개 중대) -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 제7후방지원연대 -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 제7설비대대 -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 제7통신대대 -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 제7비행대 - 사포로 비행장
- 제7음악대 -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 제7정찰대 -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 제7화학방호대 -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3. 1. 부대 목록
제7사단은 사단 사령부, 3개의 전차 연대, 1개의 기계화 보병 연대, 1개의 기계화 포병 연대, 1개의 방공 연대, 1개의 병참 지원 연대, 그리고 기타 지원 및 서비스 대대와 중대로 구성된다. 야전에서 사단은 이러한 요소들을 통합된 병종 "전투단"으로 편성한다.[1] 예를 들어, 전차 연대에 보병 중대, 포병 포대, 방공 포대 및 지원 부대를 배속하여 전차 전투단을 형성한다.[2]
- 제7사단사령부 -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 제11보통과연대(6개 중대) -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 제71전차연대(5개 중대) - 기타치토세 주둔지
- 제72전차연대(5개 중대) - 기타에니와 주둔지
- 제73전차연대(5개 중대) - 미나미에니와 주둔지
- 제7고사특과연대(6개 중대) - 시즈나이 주둔지
- 제7특과연대(4개 대대별 2개 중대) -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 제7후방지원연대 -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 제7설비대대 -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 제7통신대대 -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 제7비행대 - 사포로 비행장
- 제7음악대 -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 제7정찰대 -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 제7화학방호대 -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4. 주요 임무
제7사단은 홋카이도 이부리 및 히다카 지역의 방위 및 경비를 담당한다.[16][17][18][19][20][21] 구체적으로 제71전차연대는 무로란시, 노보리베쓰시, 다테시, 소베쓰정, 도야코정, 도요우라정을,[16] 제72전차연대는 에니와시, 기타히로시마시, 유바리시, 구리야마정, 유니정, 난포로정, 나가누마정을,[17] 제73전차연대는 도마코마이시, 시라오이정을,[18] 제11보통과연대는 지토세시를,[19] 제7특과연대는 히다카정, 비라토리정, 무카와정, 아쓰마정, 아비라정을,[20] 제7고사특과연대는 니캇푸정, 신히다카정, 우라카와정, 사마니정, 에리모정을[21] 담당한다.
또한 1977년 우수산 분화, 2003년 태풍 10호,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등의 재해 발생 시 재해 파견 임무를 수행했다. 민생 협력 및 국제 평화 유지 활동의 일환으로 캄보디아, 골란 고원, 동티모르, 이라크 등지에 파병되기도 하였다.
5. 주요 간부
겸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사령
